FOOD CONSULTING SERVICE

까다롭고, 부담스러운업무를 전문으로 대행하여 드립니다.

식품과 축산물 가공업체의 동행자

로그인
자유게시판

대장균은 좋으균일까?, 나쁜균일까?

  • 작성자

    푸그베이스

  • 등록일

    2012-06-11 14:06

  • 조회

    1683



 

 대장균이란?

  대장균은 사람과 동물 장내에 있는 정상 균총으로 통상적으로 병원성이

  없기 때문에 식품 중에서 단순히 대장균이 검출되었거나 기준치를 초과하

  였다는 사실만으로 직접 건강 상 위해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 대부분의 대장균이 비병원성이긴 하나 대장균 O157:H7과 같은 병원성

        균이 존재하기도 하여, 이러한 병원성균은 별도 기준 규격을 두어 관리

        하고 있다.
       ( 대장균O157:H7 규격 설정 식품유형(3개 유형) : 신선편의식품, 식육가

        공품 중 원료용분쇄육, 과채음료 중 비가열원료 함유 제품)


   대장균은 식품 중 모든 식중독균에 대한 검사를 일일이 실시하는 대신 식품

   전반에 대한 위생수준을 확인하는데 손쉬워 위생지표균으로써 식품 검사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위생지표균이란?

  식품 전반에 대한 위생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통상적으로 병원성을 나타

   내지는 않는 세균수, 대장균군 및 대장균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식품별 오염

   도, 주원료, 제조공정, 보존 및 유통환경 등을 고려하여 식품 기준·규격으로

   설정 
   특히, 대장균은 사람과 동물 장내에만 존재하는 균으로 분변을 통해 환경으

   로 배출되기 때문에 분변오염 지표균으로 활용되며, 살균이나 가열공정이

   없으나 위생관리가 필요한 식품에 주로 설정되어 있다. 
   식품 검사에 활용되는 위생지표균은 대장균 이외에도 ▲세균수 ▲대장균군

   등이 있다.


 

 - 세균수-

  세균수 기준은 식품 제조공정 상 위생관리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보통

  멸균, 살균제품이나 소비자가 바로 섭취하는 식품 등에 설정되어 있다. 
  - 세균 자체가 인체에 직접적인 건강상 위해를 나타내지는 않지만 일반세균

    이  백만 마리 이상 나오면 부패가 시작될 수 있고, 식중독균이 존재할 가능

    성이 있기 때문에 식품 제조, 보존 및 유통 등의 위생관리 개선이 필요하다

     는 의미를 지닌다. 

  - 세균수 검사는 유해균 뿐 아니라 유산균과 같은 유익균도 함께 측정되기 때

     문에 유산균이 함유된 제품이나, 발효과정을 거치는 장류(된장, 간장 등),

     김치류 등에는 세균수 규격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 대장균군 - 

  대장균군은 자연환경에 널리 존재하기 때문에 대장균군이 검출된 식품은 주

  변 환경에 의해 오염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주로 살균 또는 가열

  처리한 제품 등에 설정되어 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